完州郡(ワンジュぐん)は、大韓民国全北特別自治道中部にある郡。

全北特別自治道 完州郡
花巌寺の極楽殿
位置
各種表記
ハングル: 완주군
漢字: 完州郡
片仮名転写: ワンジュ=グン
ローマ字転写 (RR): Wanju-gun
統計(2023年
面積: 821.05 km2
総人口: 97,827[1]
男子人口: 50,192 人
女子人口: 47,635 人
行政
国: 大韓民国の旗 大韓民国
上位自治体: 全北特別自治道
下位行政区画: 3邑10面
完州郡の木: ケヤキ
完州郡の花: クロフネツツジ
完州郡の鳥: カササギ
自治体公式サイト: 完州郡
テンプレートを表示
完州郡庁

道庁所在地である全州市を取り囲むようにして存在する。もともとは全州市(現在)とひとつの行政区を成していた。

2012年に全州市との統合を問う住民投票が実施されたが、反対が上回り統合は白紙化された。

歴史

編集
  • 百済時代、完州郡の区域には高山・只伐只(共伐共)があった。757年に只伐只を雲梯と改名した。
  • 1914年4月1日 - 郡面併合により、全州府・高山郡全州郡として編成。全州郡に以下の面が成立。[2](20面)
    • 全州面・薍田面・雨林面・伊東面・助村面・草浦面・龍進面・伊西面・上関面・参礼面・鳳東面・所陽面・九耳面・高山面・三奇面・華山面・雲仙面・雲東下面・飛鳳面・東上面[3]
朝鮮総督府令第111号、全羅北道令第2号
旧行政区画 新行政区画
全州郡雨林面가용리/만세리/반목리/쌍자리/용산리 일부/함대리 일부/정동리 일부/(난전면)중인리 일부、신리/신봉리/송정리/신룡리/안행리 일부/쌍룡리 일부/오두리 일부/신주리 일부/태평리 일부、능내리/도리리/신성리/복흥리/한산리/장동리/호동리/석산리/조과리/삼산리 일부、용복리/하신덕리/신덕리/석장리/구덕리/구복리/장수리 일부/(난전면)독배리/화정리 일부/(금구군 동면)목연리 일부、청도리/두정리/동곡리/(금구군 수류면)용정리 일부、농포리/용덕리/삼천리/상차리/하차리/성자리 일부/태평리 일부/함대리 일부/(난전면)산정리 일부、호암리/후곡리/구룡리/초전리/한절리/효자리/신평리 일부/봉강리 일부/신주리 일부/용산리 일부/함대리 일부/(이동면)호산리 일부 雨林面 계용리、송정리、안산리、용복리、청도리、태평리、효자리
全州郡亂田面금성리/신평리/신봉리/가동리/독정리/석구리 일부/상평리 일부/신기리 일부/원당리 일부、구화리/홍수리/석불리/수창리 일부/(부남면)은송리 일부/묘동 일부、중평리/부평리/문정리/작지리/용와리 일부/장교리 일부/대정리 일부/상평리 일부/신기리 일부、학야리/추동리/학전리 일부/원당리 일부/용와리 일부/(구이면)두방리 일부、장천리/지시리/구석리/상구리/하구리/대정리 일부/산정리 일부/수창리 일부/장교리 일부/(부남면)묘동 일부、봉소리/상승리/신안리/도계리/신금리/하봉리/어두리/화정리 일부/중인리 일부/학전리 일부/(우림면)장수리 일부/정동리 일부 亂田面 석구리、석불리、문정리、원당리、장천리、중인리
全州郡上關面내애리/외애리/마자리/용암리/산정리/소치리/학동리 일부、신덕리/마치리/정수리/대흥리/내신리 일부/신리 일부、월암리/신흥리/쌍정리/은사리/봉암리/어두리/신리 일부/(부남면)죽실리 일부、내정리/외정리/반월리/공덕리/공기리/내사리/외사리/죽림리/금계리/종현리/학동리 일부、민목리/상성리/기월리/부흥리/의암리/묘동리/내신리 일부 上關面 용암리、마치리、신리、죽림리、의암리
全州郡府南面사계리 일부/교동리 일부/한계리 일부/병풍리/대성리/사대리/원당리/(상관면)객사동 일부/(부동면)오계리 일부、색장리/안진리/장전리/은석리/죽음리/죽실리/(상관면)객사동 일부、반월리 일부/사정리 일부、곤지리/은송리 일부/(부서면)오계리 일부、구석리 일부/방산리 일부/일계리 일부/(부동면)일계리 일부/이계리 일부、한계리 일부/교동리 일부/구석리 일부/삼계리 일부/사계리 일부 대성리、색장리
全州面 서정、완산정、대화정、청수정
全州郡府東面삼계리 일부/사계리 일부、육계리 일부、육계리 일부、일계리 일부/이계리 일부/오계리 일부、사계리 일부/육계리 일부 대정정5정목、대정정6정목、대정정7정목、풍남정、화원정
全州郡府西面삼계리 일부/사계리 일부、일계리 일부/이계리 일부、일계리 일부/이계리 일부、일계리 일부/이계리 일부、일계리 일부/이계리 일부/(부동면)삼계리 일부/사계리 일부、이계리 일부/(부남면)일계리 일부、사계리 일부/(부남면)이계리 일부/방산리 일부、사계리 일부、삼계리 일부 다가정、대정정1정목、대정정2정목、대정정3정목、대정정4정목、팔달정、본정1정목、본정2정목、본정3정목
全州郡府北面일리/삼리 일부/(부서면)일계리 일부、사리 일부、학암리/검암리/용산리/사평리/두진리/수리/내명지리/구암리/송정리/외명지리 일부/사천리 일부/사리 일부/(이동면)주동리 일부/어은리 일부/(조촌면)상가리 일부、동정리/신동리/삼리 일부/(용진면)인봉리/(부동면)오계리 일부/육계리 일부、삼리 일부/사리 일부、비하리/사천리 일부/외명지리 일부/(용진면)표석리/인후리 고사정、본정4정목
伊東面 검암리、노송리、상생리、인후리
全州郡伊東面신포리/신정리/쌍룡리/서신리/상산리/전룡리/파구리/덕용리 일부/중산리 일부、산동리/신산리/중산리 일부/(부서면)신화산리 일부/(우림면)오두리 일부、주동리 일부/(부남면)은송리 일부/(우림면)안행리 일부/쌍룡리 일부/(부서면)신화산리 일부/오계리 일부/구화산리、서우리/서중리/용암리/완풍리/성덕리/신덕리/마전리/척동리/홍산리/농소리/호산리 일부/(우림면)봉강리 일부/신중리 일부/동거리/만산리、만성리/영흥리/월평리/신성리/신리/두현리/용흥리/냉정리/신동리 일부/(이남면)신곡리 일부/안심리 일부、여의리/영암리/방초리/화개리/용정리/유제리/신행리/용동리/감천리/덕촌리/양마리/구주리 일부/(조촌면)덕용리 일부/족항리 일부/유상리 일부、부동리/정암리/재방리/영동리/화암리/내동리/용산리/장동리/(이남면)노강리/중리 일부 서신리、중산리、화산리、홍산리
助付面 만성리、여의리、장동리
全州郡助付面춘평리/월곡리/수곡리/평리/고랑리/신감리/상평리/청계리/상신리/감정리 일부/(회포면)진기리 일부/(창덕면)대천리 일부、예암리/학상리/상리/신교리/매화리/구주리/반룡리 일부/유상리 일부/동곡리 일부/(이동면)구주리 일부、구상리/신복리/동산리 일부/족항리 일부/덕용리 일부/유상리 일부/반룡리 일부/동곡리 일부, 하증리/신증리/신룡리/반월리/실리/구증리 일부/동산리 일부/(이북면)서당리 일부、하가리/학동리/상가리 일부/덕중리 일부/덕용리 일부、사금리/오송리/신기리/신풍리/용소리 일부/덕중리 일부、시천리/신동리/유교리/와룡리/용흥리/용소리 일부/(회포면)월평리 일부 고랑리、동곡리、동산리、반월리、상가리、오송리、시천리
全州郡伊北面용정리/구정리/용암리/성곡리/대초리/신기리/월곡리/서당리 일부、성덕리/삼덕리/대흥리/칠정리/신오리 일부/(이서면)청복리 일부、운등리/신탄리/굴신리/화전리/신평리/남상리/신정리 용정리、성덕리、화전리
全州郡伊西面남계리/신기리 일부/대농리 일부/반교리 일부/탑동리 일부/(김제군 금굴면)재남리 일부/상금리 일부/하금리 일부、지사리/용서리 일부/해교리 일부/(이남면)하개리 일부、갈동리/수청리/반교리 일부/갈산리 일부/(이남면)옥정리 일부、원앙리/신지산리/신월리/두죽리/지산리/은교리 일부/장동리 일부/앵곡리 일부、영주리/산정리/이문리/모고지/운수리/명당리/해교리 일부/(김제군 금굴면)상금리 일부、상회리/하회리/원동리/구사리/독정리/매암리 일부/청복리 일부/탑동리 일부/(이남면)제내리/(김제군 모촌면)신성리 일부 伊西面 남계리、용서리、반교리、은교리、이문리、원동리
全州郡伊南面신흥리/양동리/덕동리/옥정리 일부/갈산리 일부/신송리 일부/신풍리 일부/(이서면)신제리、금평리/신정리/어전리/신풍리 일부/대흥리 일부、상개리/지암리/화정리/하개리 일부/(이서면)용서리 일부/장동리 일부、상림리/신삼산리/대흥리 일부/안심리 일부/면학리 일부/흑암리 일부/(우림면)삼산리 일부、이성리/분토리/내정리/상금리/마산리/(금구군 동면)대장리 일부/동화리 일부、상리/상정리/반곡리/중리 일부/신곡리 일부/면학리 일부/오송리 일부/안심리 일부/흑암리 일부/(이동면)신동리 일부 갈산리、금평리、상개리、상림리、이성리、중리
全州郡草谷面장재리/반암리/안덕리/신덕리/(부북면)신기리/성지리/백동/(회포면)신성리 일부、사리/봉암리/화암리/화정리/농은리 일부/고당리 일부、정주리/행주리/사거리/신주리/동산리/이리/신정리/만수리/다경리/(회포면)신성리 일부、우와리/용흥리/신흥리/서주리/중오리/용주리/신동리/오산리/상중리/송전리 일부/(회포면)신중리、서담리/신기리/용택리/송전리 일부/농은리 일부/고당리 일부/(봉상면)건전리 일부/(용진면)상운리/운교리/계상리 草浦面 우방리、봉암리、신성리、송전리、상운리
全州郡回浦面미산리/회용리/주정리/화리/진기리 일부/월평리 일부/연봉리 일부、진조리/백석리/전당리/신봉리/은평리/연봉리 일부、신복리/하리/신원리/신창리/신평리/송정리/용전리/(창덕면)구와리 일부/상백리 일부 미산리、전당리、하리
全州郡昌徳面전와리/후와리/상와리/중와리/구금리 일부/유리 일부/상백리 일부/송정리 일부、상신정리/삼계리/정산리/학동리/청등리 일부/신정리 일부/석전리 일부、수계리/청계리/신포리/덕천리/신덕리/사상리 일부/장포리 일부/송정리 일부/신탁리 일부/청등리 일부/(우동면)서당리 일부/(봉상면)명덕리 일부、별산리/시목리/신금리/월산리 일부/구금리 일부/상백리 일부/신정리 일부/석전리 일부、상탁리/중탁리/봉황리/상신리/만석리/신탁리 일부/송정리 일부/유리 일부/사상리 일부/장포리 일부、신후리/상후리/서여리/구주리/상주리/중주리/만경리/마천리/안좌리/신안리/하백리/가인리/동여리 일부/서신리 일부/대천리 일부/구금리 일부/(익산군 두촌면)학연리 일부 삼례면 구와리、석전리、수계리、신금리、신탁리、삼례리
全州郡紆西面어전리 일부/신왕리 일부/쌍남리 일부/중신리 일부/쌍북리 일부/신평리 일부/(익산군 춘포면)문종리 일부、해전리 일부/신사리 일부/신평리 일부/(익산군 춘포면)장연리 일부、후상리/해전리 일부/(창덕면)후정리 일부/서신리 일부/(익산군 우북면)화산리 일부 어전리、해전리、후정리
全州郡紆東面통정리/신성리/창리/구암리/야산리/구복리 일부/서당리 일부/(봉상면)구정리 일부/(창덕면)월산리 일부/(익산군 우북면)덕동 일부/관덕리 일부、봉암리/신하리/산정리/산주리/명동리/신둔리/용암리 일부/둔산리 일부/죽동리 일부/구복리 일부/(봉상면)구정리 일부、금반리/용암리 일부/주동리 일부/(봉상면)서두리 일부/구미리 일부/용화리、장구리/신정리/전강리 일부/죽동리 일부/둔산리 일부、서초리/제내리/제상리/만석리/옥동리/신포리/전강리 일부/(봉상면)탑리/관음리/무등리/신흥리/만동리 봉동면 구암리、둔산리、용암리、장구리、제내리
全州郡鳳翔面신봉리/명탄리/고천리/명덕리 일부/동동리 일부/구미리 일부、봉강리/구만리/서당리/건전리 일부/동촌리 일부、정동리/봉계리/중리/점리 일부/서두리 일브/구미리 일부/신화리 일부/(우동면)주동리 일부、보상리/낙상리/낙정리/쌍정리/낙평리/신기리/신풍리 일부/한계리 일부/중평리 일부/성덕리 일부、봉림리/율소리, 신후리/부봉리/대성리/동리/신화리 일부/신풍리 일부/중평리 일부/성덕리 일부/동간리 일부、신성리/신하리/신덕리/천내리/동촌리 일부、봉실리/추동/봉덕리/은상리/은하리/우산리/점리 일부、구교리/장기리/오동리/상월리/신교리/상지리/하월리/임내리/오황리/양정리/사거리/쌍계리/한계리 일부 고천리、구만리、구미리、낙평리、율소리、성덕리、신성리、은하리、장기리
全州郡九耳面 상보리/하보리/평촌리/소용리/상척리/하척리/조이리/태실리/박성동 일부、화원리/난산리/봉성리/신원리/신흥리/효간리/광곡리/박성동 일부/광곡리 일부、총명리/칠암리/와동리/덕천리/지등리/구암리 일부/(난전면)총명리 일부/석구리 일부、두방리 일부/두현리 일부/하학리 일부、유광리/원기리/상학리 일부/하학리 일부/두현리 일부/신전리 일부/항가리 일부、구복리/무지리/망월리/반월리/마음리/신전리 일부/항가리 일부/두암리 일부/상학리 일부/하학리 일부、성덕리/교동리/가곡리/고암리/대덕리/두암리 일부、장파리/안덕리、백여리/호동리/용동리/신정리/상용리/하용리 九耳面 평촌리、광곡리、덕천리、두현리、원기리、항가리、가곡리、안덕리、백여리
全州郡所陽面신기리/평리/명덕리/지리/토정리/삼태리/오상리/일임리/호동、죽절리/외조리/오암리/분토리/신성리/내조리/신평리/황운리 일부、대흥리/송광리/백운리/외성리/오도리/위봉리/신풍리 일부、다이리/상원리/하원리/석성리/왕정리/신왕리/해월리/국촌리/행정리/신풍리 일부、마수리/용연리/봉암리/회룡리/망표리/황운리 일부、신단리/잠평리/신교리/원당리/부흥리/율곡리/행주리/갈전리/신봉리/은선리/응암리、구진리/화심리/묵방리/유상리/약암리、대상리/대중리/대하리/복은리/용문리/반곡리/신안리/신원리、삼중리/웅하리/신촌리/월평리/웅상리/송정리/우정리 일부 所陽面 명덕리、죽절리、대흥리、해월리、황운리、신교리、화심리、신원리、신촌리
全州郡龍進面순지리/덕산리/용복리/신지리/양전리/만가리/구복리/지동리/신월리 일부、봉계리/신봉리/덕암리/운곡리/신강리/신월리/용흥리 일부、녹동리/봉암리/시계리/시중리/반룡리/시천리/용흥리 일부/도계리 일부、간중리/암정리/두억리/운잠리/부곡리/도계리 일부、학선리/설경리/운수리/관전리/관하리/명당리/용교리/척동리/용암리/상삼리 일부/용주리 일부、효천리/일리/화개리/구억리/용정리/하리/상삼리 일부/용주리 일부/(초곡면)고당리 일부/송암리、무평리/가소리/삼천리/공덕리/사동/수곡리/산제리/금상리/금하리/설호리/죽전리 일부/산정리 일부、행치리/석소리/산정리 일부、한범리/인교리/무능리/관암리/신동리/아중리/아하리/용계리/좌전리 龍進面 신지리、운곡리、용흥리、간중리、상삼리、구억리、금상리、산정리、아중리
  • 1930年7月1日 - 上関面・薍田面・伊東面のそれぞれ一部が全州面に編入(20面)。
  • 1931年4月1日 - 全州面が全州邑に昇格。[4](1邑19面)
  • 1935年10月1日 - 行政区画を改編(1邑16面)。
    • 全州邑が全州府に昇格・分離。これに伴い、既存の全州郡は完州郡に改称。[5]
    • 雨林面清道里を新設の金堤郡金山面に編入。
    • 薍田面および雨林面の残部をもって雨田面を設置。
    • 三奇面が高山面・華山面に分割編入。
    • 雲東下面・雲仙面が合併して雲洲面を設置。
  • 1940年11月1日 - 伊東面および雨田面・助村面のそれぞれ一部が全州府に編入。[6](15面)
  • 1956年7月8日 - 参礼面が参礼邑に昇格。[7](1邑14面)
  • 1957年11月6日 - 草浦面・雨田面を廃止。[8](1邑12面)
    • 草浦面・龍進面・上関面・雨田面・助村面のそれぞれ一部が全州市に編入。
    • 草浦面の残部が参礼邑・龍進面に分割編入。
    • 雨田面の残部が九耳面に編入。
  • 1966年10月26日 - 雲洲面に庚川出張所を設置。[9]
  • 1973年7月1日(2邑11面)
    • 龍進面山亭里の一部が全州市牛牙洞に編入。[10]
    • 益山郡王宮面温水里火山村が参礼邑参礼里に編入。[10]
    • 鳳東面が鳳東邑に昇格。[11]
  • 1981年6月30日 - 郡庁舎を全州市麟後洞2街1562番地(現在の百濟大路721)に移転。[5]
  • 1983年2月15日(2邑11面)
    • 上関面・龍進面のそれぞれ一部が全州市に編入。
    • 伊西面・金堤郡白鴎面のそれぞれ一部が助村面に編入。
  • 1985年10月1日 - 助村面が助村邑に昇格。[12](3邑10面)
  • 1987年1月1日 - 助村邑が全州市に編入。[13](2邑10面)
  • 1989年
    • 1月1日 - 龍進面山亭里・今上里、九耳面龍伏里・仲仁里・院堂里・石九里が全州市に編入。[14](2邑10面)
    • 4月1日 - 雲洲面庚川出張所が庚川面に昇格。[15](2邑11面)
  • 1990年8月1日 - 伊西面中里・上林里が全州市完山区に編入。[16](2邑11面)
  • 1993年12月 - 参礼邑の一部が鳳東邑に編入(2邑11面)。
  • 1994年12月26日 - 金堤郡龍池面金坪里が伊西面に編入。[17]伊西面に金坪里がすでに存在しているため、金渓里に改称。(2邑11面)
  • 2012年6月7日 - 郡庁舎を全州市から龍進面に移転。
  • 2015年10月1日 - 龍進面が龍進邑に昇格。(3邑10面)

行政

編集
 
行政区域図

行政区域

編集
邑・面 法定里
参礼邑(サムネ=ウプ) 旧瓦里、参礼里、石田里、於田里、海田里、峀渓里、新金里、新卓里、後亭里、下里
鳳東邑(ポンドン=ウプ) 高川里、九万里、九尾里、九岩里、洛平里、芚山里、成徳里、新成里、龍岩里、栗所里、隠下里、長久里、場基里、堤内里
龍進邑(ヨンジン=ウプ) 澗中里、九億里、上三里、上雲里、新池里、龍興里、雲谷里
伊西面(イソ=ミョン) 伊門里、葛山里、金渓里、龍棲里、上開里、盤橋里、南渓里、金坪里、銀橋里、伊成里
上関面(サングァン=ミョン) 新里、竹林里、龍岩里、衣岩里、馬峙里
所陽面(ソヤン=ミョン) 大興里、明徳里、新橋里、新元里、新村里、竹節里、海月里、花心里、黄雲里
九耳面(クイ=ミョン) 桂谷里、光谷里、徳川里、斗峴里、白如里、安徳里、元基里、平村里、亢佳里
高山面(コサン=ミョン) 南峰里、三奇里、西峰里、聖才里、小向里、陽也里、於牛里、五山里、栗谷里、邑内里、花亭里
華山面(ファサン=ミョン) 城北里、升峙里、臥龍里、牛月里、雲谷里、雲山里、雲梯里、宗里、春山里、花月里、花平里
雲洲面(ウンジュ=ミョン) 姑堂里、九梯里、金塘里、山北里、完昌里、長仙里
庚川面(キョンチョン=ミョン) 庚川里、龍伏里、佳川里
飛鳳面(ピボン=ミョン) 内月里、大峙里、百島里、鳳山里、所農里、水仙里、泥田里
東上面(トンサン=ミョン) 大雅里、詞峰里、水満里、新月里
  • 人口が最も多いのは鳳東邑であるが、郡庁所在地は龍進邑である。
  • 伊西面は全州市、金堤市の間にある飛び地になっている。

警察

編集

ギャラリー

編集

交通

編集

観光

編集

姉妹都市

編集

脚注

編集
  1. ^ 주민등록 인구통계 - 행정안전부”. 行政安全部. 2024年1月3日閲覧。
  2. ^ 朝鮮総督府令第111号(1913年12月29日)
  3. ^ 조선총독부 전라북도령 제2호 (1914년 3월 10일)
  4. ^ 朝鮮総督府令第103号(1930年12月29日)
  5. ^ a b 완주군 신청사시대 활짝 새전북신문, 2012.6.6.
  6. ^ 朝鮮総督府令第220号(1940年10月23日)
  7. ^ 法律第395号
  8. ^ 法律第453号(1957年11月6日)
  9. ^ 郡条例第97号
  10. ^ a b 大統領令第6542号(1973年3月12日)
  11. ^ 大統領令第6543号(1973年3月12日)
  12. ^ 대통령령 제11772호 경기도양주군회천읍등읍설치와읍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(1985년 9월 26일)
  13. ^ 大統領令第12007号(1986年12月23日)
  14. ^ 大統領令第12557号(1988年12月22日)
  15. ^ 郡条例第1065号
  16. ^ 大統領令第13046号(1990年7月9日)
  17. ^ 大統領令第14434号

外部リンク

編集